HLSL에서 사용하는 함수들이 보통(?) Shader Graph의 node에서 제공하는 함수와 내용이 같지만 자세히 보면 같은 함수임에도 node에서 설정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출력이 다르게 나올 수가 있어서 꼭 HLSL의 함수 내용과 Shader Graph의 node의 내용을 비교해가면서 작업해야 한다.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direct3dhlsl/dx-graphics-hlsl
High-level shader language (HLSL) - Win32 apps
HLSL is the C-like high-level shader language that you use with programmable shaders in DirectX.
docs.microsoft.com
에서 HLSL의 내용을 보고
https://docs.unity3d.com/Packages/com.unity.shadergraph@10.3/manual/index.html
About Shader Graph | Shader Graph | 10.3.2
About Shader Graph Description Shader Graph enables you to build shaders visually. Instead of writing code, you create and connect nodes in a graph framework. Shader Graph gives instant feedback that reflects your changes, and it’s simple enough for user
docs.unity3d.com
에서 함수를 다시 검색해서 내용을 비교해봐야 한다.
(현재 Shader Graph 10.3 버전을 사용하고 있어서 10.3에서 검색하는데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버전을 선택해서 검색하는 것이 더 좋다.)
* 함수의 이름이 다르고 내용이 같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Goole에서 Shader graph "HLSL 함수" 이런 식으로 검색해서 내용을 비교해 볼 수도 있다.
'Unity >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존 프로젝트 URP, HDRP로 전환 시 Material 일일이 바꾸지 말자 (0) | 2021.07.06 |
---|---|
Unity Visual Studio에서 이상한 오류?! (0) | 2021.06.27 |
Unity manifest 위치, 수정, 권한 요청 (4) | 2021.06.01 |
Unity 여러 플랫폼을 구분하여 개발하기 (0) | 2021.05.28 |
유니티 씬뷰 확대 축소_Unity SceneView Zoom in, out (0) | 2021.04.23 |